2편: 담배 종류와 브랜드, 그리고 취향의 지도

“담배가 다 비슷한 거 아니에요.”

비흡연자가 하는 말이다. 담배는 놀라울 만큼 세분화된 취향의 세계다.
그 차이는 단순히 니코틴 함량이나 연기의 세기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어떤 사람은 에쎄에서 향긋함을 찾고, 또 다른 이는 말보로에서 묵직한 만족감을 느낀다. 누군가는 전자담배로 깔끔함을 추구하고, 누군가는 여전히 연초 특유의 강렬함을 고수한다.

흡연은 니코틴을 들이마시는 행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나만의 담배’를 고르는 기호의 세계이기도 하다. 그 세계의 선택은 시대와 연령, 성별, 사회적 정체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연초(궐련). 종이에 말아 불을 붙여 연기를 직접 들이마시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대중적인 흡연 방식이다. 종류에 따라 타르와 니코틴 함량, 흡입감이 다르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연초 브랜드는 에쎄(Esse)다. 얇고 가벼우며, 타르와 니코틴 수치가 낮은 제품군이 많아 여성 흡연자 비율이 높다. 반면 말보로(Marlboro)는 두터운 필터와 묵직한 흡입감으로 남성 흡연자들이 선호한다. 던힐(Dunhill)은 부드러운 연소감과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로 직장인들에게 인기다.

최근에는 향이 첨가된 캡슐 담배도 인기를 끌고 있다. 필터를 누르면 민트, 블루베리, 자몽 등의 향이 터져 나오는 구조다. 달콤하고 상큼한 맛 때문에 청소년 흡연의 진입 장벽이 낮아진다는 우려도 크다.

전자담배는 니코틴 용액을 증기로 만들어 흡입한다.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 액상형 전자담배: 대표 제품은 쥴(JUUL), 릴 베이퍼(lil vapor). 향이 다양하고, 흡입감이 연하고, 냄새가 적다. 하지만 니코틴 농도가 높고 흡수 속도가 빨라, 중독성이 강하다는 평가가 있다.
  • 궐련형 전자담배(가열담배): 대표 제품은 아이코스(IQOS), 릴 하이브리드, 글로(glo). 실제 잎담배를 태우지 않고, 350도 안팎의 고온으로 가열해 연초와 비슷한 느낌을 제공한다. 냄새가 적고 연기량이 적은 것이 장점으로 작용한다.

전자담배는 상대적으로 냄새와 불쾌감이 덜해 사회적 마찰이 적지만, 안전성이나 중독성 면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다. 연초보다 “덜 해롭다”는 인식이 있지만, 실제로는 그 효과나 위험성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고, 특히 청소년 니코틴 중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특히 액상형 전자담배는 미국에서 “팝콘 폐(popcorn lung)”로 불리는 폐질환 이슈가 터진 이후 많은 경고가 나오고 있다.

누군가는 “니코틴이 적은 담배는 오히려 더 많이 피게 된다”는 경험을 말하기도 한다. 이는 타르와 니코틴이 적은 담배일수록 깊게 들이마시는 경향이 높아져, 흡수량이 오히려 더 많아지는 역설적 현상 때문이다.

특정 브랜드를 고집하는 흡연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던힐은 좀 부드럽고, 말로는 확 들어와요.”
“에쎄는 담배 같지 않아서 좋아요.”
“아이코스는 냄새도 적고, 깔끔하죠.”

이런 차이는 단지 ‘맛’의 차이가 아니다. 흡입감, 무게감, 향, 연기량, 심지어 케이스 디자인까지 — 브랜드는 곧 흡연자의 취향, 정체성, 사회적 코드로 작용한다.
젊은 여성층은 얇고 향이 나는 담배, 남성 흡연자들은 묵직한 연초형, 30~40대 직장인들은 냄새가 덜 나는 가열형 전자담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단지 건강이나 기능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흡연자가 되고 싶은가에 대한 상징적 선택이기도 하다.

커피, 술, 음악에 대한 취향이 다르듯이, 이렇게 사람마다 좋아하는 담배는 다르다. 후각의 민감도, 첫 흡연의 기억, 흡연 목적(긴장 완화냐 각성이냐), 주변 환경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준다. 하지만 더 중요한 건, 이 ‘기호’라는 것도 일종의 유도된 결과라는 점이다. 향을 입히고, 포장을 세련되게 만들고, 심지어 필터의 단단함까지 조절하는 마케팅 전략은 담배 산업이 만들어낸 기호의 지도다.

다양한 제품, 포장, 향료, 강도, 사이즈, 기술이 존재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더 많은 사람에게, 더 오래, 더 중독적으로 담배를 팔기 위해서다. 당신의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취향을 형성하고, 그 안에 머물게 하기 위한 구조에 다름 아니다. 얼핏 ‘선택할 수 있다’는 면에서 자유롭게 느낄 수 있지만, 거대 자본의 계획된 이끌림일 가능성이 높다.

더 부드럽게, 더 향기롭게, 더 예쁘게! 그렇게 당신의 첫 담배가 거부감 없이 입 안에 들어오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 그 취향이 생기면, 사람은 그 담배를 다시 찾게 된다. 나의 선택 같지만, 사실은 그들이 나를 선택했다고 하는 편이 옳을지 모른다.

우리는 담배를 고른다. 하지만 그 선택의 배경에는 수많은 기획과 유도가 숨어 있다. 취향을 존중받는 느낌에 이끌려, 우리는 어느새 니코틴의 구조 속으로 파묻힌다.

다음편에서는 이 니코틴이 어떻게 우리 뇌를 지배하고, 중독을 만들어내는지 그리고 그것이 얼마나 과학적으로 정교하게 작동하는지, "3편: 니코틴의 과학 — 중독과 의지 사이"에서 이어진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이 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의견을 남겨주시면 소중하게 읽어보겠습니다!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